본문 바로가기
유튜브 추천

[유튜브 추천]무한대, 그 너머(Beyond Infinity Number Comparison)

by 이상과 사상 2021. 4. 10.

동영상을 보고 리뷰를 봐 주세요!

youtu.be/RJS3Z2DYEO4

영상을 보면 말 그대로 수에 압도됩니다. 저도 지금 리뷰를 위해 다시 영상을 보았는데 정신이 어질어질하네요.

 

 

솔직히 이정도 되면 대충 큰 수에 0을 붙이거나 제곱을 해서 만들었을 것이라는 합리적(?) 의심이 생깁니다.

다들 바둑의 경우의 수가 엄청 많다더라~ 하는 이야기 한 번쯤은 들어본 적이 있으실 겁니다. 그리고 수학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이라면 그레이엄수정도까지는 들어본 적이 있으실 수도 있겠습니다. 막 가장 큰 수니 뭐니 하면서 말이지요. 그런데 그 뒤에도 동영상은 한참 남았고 큰 수들은 엄청나게 많이 나옵니다. 솔직히 이정도 되면 아무 의미도 없이 대충 큰 수에 0을 붙이거나 제곱을 해서 만들었을 것이라는 합리적(?) 의심이 생깁니다.

 

 

 

그래서 한번 찾아봤습니다. 실제로 저런 수들이 있나 하고요. 놀랍게도 TREE(3), SSCG(3)과 같은 수는 수학의 조합론에서 등장하는 수로 실제 있는 수였습니다. 다른 수들도 나름대로 의미가 있는 것 같더군요. 특히 가장 큰 수로 소개되는(무한대 빼고) 라요수는 정말 재미있는 정의를 가지고 있었습니다(글 하단에 간단한 설명이 있습니다).

 

 

 

아무튼 이런 수들을 보면 인간이 작아보이는 것을 넘어 우주도 작아보입니다. 뒤에 나오는 수들은 0이 몇개 붙고 이런걸 떠나서 묘사하기도 거의 불가능합니다. 그에 비하면 인간은 우주의 모래알이 아니고 모래알이 우주 크기일 때 모래알만큼도 안 될 것 같습니다. 정말 놀라움을 넘어 거의 공포가 느껴지기도 합니다. 코스믹 호러라고나 할까요.

 

 

이 이미지가 주는 느낌으로는 구골도 안 될 겁니다.

 

 

이런 동영상을 보고 나면 느껴지는 것이 있습니다. 이런 것이 있구나~ 하는 느낌으로 그칠 수도 있고, 인간이란 너무도 작다는 생각이 들수도 있으며, 반대로 이렇게나 큰 것들이 있는데 내가 우물 안 개구리였구나라는 생각이 들 수도 있습니다. 사람마다 드는 생각은 다르겠지요. 하지만 분명한 것은, 각자가 받은 그 느낌이 어떤 것이든 지금까지 경험해보지 못한 것을 경험하여 얻은 느낌이기에 소중하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에게 새로운 경험을 가져다 주고, 심지어는 우리의 '인지의 틀'을 흔들어 놓는다는 점만으로도 이 동영상을 볼 가치는 충분한 것 같습니다.

 

 

 여러분은 영상을 보고 어떤 생각이 드셨나요? 

 

 

 

<라요 수 설명>

설명이 조금 부정확하지만, 쉽게 설명하면 Rayo(7)이라는 수가 있다고 칩시다. 이 수는 7글자로 이루어진 가장 큰 수 입니다. 예를 들어 일곱 글자로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수가 "백억의백억제곱"(7자)이라면 라요수는 백억의 백억제곱인 것이지요. 그리고 라요수는 Rayo(구골)입니다. 구골(1뒤에 0이 100개)개의 글자로 이루어진 가장 큰 수를 말하는 것이지요. 정말이지 상상도 안됩니다.

댓글